재능을 뛰어넘는 노력의 가치

나는 노력의 가치를 안다. 어쩌면 나 자신이 나보다 더 재능 있는 친구들을 더 많이 봤기에 그 간격을 줄이기 위해 노력이라는 것에 엔진에 힘을 실어 준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재능은 타고난 것이고 달라질 수 없지만 노력이라는 것은 자신의 의지 여하에 따라 인생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예전에 안철수의 책에서 다음과 같은 문구를 읽은 적이 있다.

“어떤 문제에 부딪히면 나는 남들보다 시간을 두세 배 더 투자할 각오를 한다. 그것이야말로 평범한 두뇌를 가진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나는 이 말이 누구보다 공감이 간다. 이것이 내가 택한 공부의 전략이었고 지금까지 인생을 살아온 길잡이가 되었기 때문이었다.

나에게 있어 중 3이라는 시절은 지금까지의 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였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 때 일년으로 인해서 내 인생의 가치관과 인생관은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고 지금의 나로 살아오게 된 가장 큰 계기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인생을 살아가다 보면 난관에 부딪힐 때가 많다. 해답은 보이지 않고 도움을 청할 곳은 없고 시간은 자꾸만 흘러가고 있고…… 해답은 보이질 않지만 무작정 걷거나 뛰어야 할 때가 있다. 목적지는 보이지 않지만 나 자신을 믿고 발걸음을 계속 떼어야 할 때가 있다. 밑 빠진 독이라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무작정 물을 부어야 할 때가 있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그런 노력 속에서 시간이 지나면 목적지가 흐릿하게나마 보이고 밑 빠진 독에 물이 차오르는 경험을 할 때가 있었다. 그게 나의 중 3 시절이었다.

나는 국민학교(그 당시는 초등학교가 아니라 국민학교라고 불렀다) 때 공부를 잘했었다. 지금은 가물가물하지만 학교 수업만 듣고 전과 몇 번만 봐도 대부분 반에서 1등 아니면 2등이라는 성적을 받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공부한다는 개념도 별로 없었고 그냥 재미있게 놀면서 학교생활을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대구에서 명문 학군인 수성구의 명문 학교에 가고 싶었던 나는 경신 중, 대륜 중, 덕원 중의 하나에 걸리기를 기대했지만 엉뚱하게 오성 중학교라는 생각지도 않았던 학교로 가고 말았다. 이 학교에 산을 깎아서 만들었기 때문에 올라가려면 한참을 땀을 뻘뻘 흘리면서 올라가야 하고 학교 건물이 완전 하얕게 되어 있어 정신 병동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밑에 사진에 보면 알겠지만 산 중턱에 있는 학교다. 덕분에 중학교 3년 동안 엄청난 운동을 할 수 있었다). 아무튼 이 학교에서 중학교생활을 시작하게 되었고 3년 동안 재미있었던 추억 거리를 Read More...

Shar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