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의 이동
예전에 전자신문에서 신년 기획으로 “돌아오지 않는 두뇌들“이라는 제목으로 기사가 나온 적이 있다. 여기 기사를 보게 된다면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한국인의 63%가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미국에 잔류하겠다고 희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중에 이공계 박사들의 한국행 기피는 더 심각하다고 한다. 통계에 따르면 다른 분야에 비해 이공계 박사는 더 높은 비율로 미국에 남고 싶어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질까? 결론은 미국에서 자기 전문 분야의 연구를 하고 일을 하는 것이 한국에서 일할 때보다 훨씬 많이 벌고, 그러면서도 훨씬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약 4년 정도 일하면서 중소기업과 대기업들이 어떻게 일을 하는지 많이 봐왔다. 그중에서도 IT 분야의 엔지니어들이 어떤 대우를 받고 어떤 식으로 일하는지를 보면서 나 자신부터 이 같은 삶을 지속할 수 있을지 끊임없이 고민을 해왔다. 내가 내린 결론은 “관두자”였다. 병역특례로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동안 긴 업무 시간과 끊임없이 계속되는 프로젝트로 인해 심신이 많이 지쳐갔다. 다만 운이 좋았던 것은 인격적으로 대해주셨던 좋은 상사분들을 만나서 사회 생활의 많은 부분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내가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에 비해 보상을 받지도 못하고 사회적으로도 크게 인정받지도 못하는 일이라는 것을 조금씩 깨달아가면서 내가 과연 이 일을 계속해야 되는지 의문이 들었다.
재능이라는 것은 정말 모르는 것이다. 내가 어떤 것을 시도해보기 전에는 내가 어느 쪽에 적성이 있고 어떤 쪽을 잘하는지 절대 알 수 없는 것이다.
나는 컴퓨터와 전자기기를 어릴 때부터 좋아해서 대학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했고 나중에 소프트웨어에 흥미를 느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서의 길을 조금씩 닦아왔다.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성적을 받아왔고 좋은 고등학교, 대학교를 열심히 공부해서 졸업했으니 여기에 적성이 있고 또 잘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웬걸 대학을 졸업해서 회사 일을 하다 보니 내가 길을 잘 못 선택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한 달을 죽도록 일하고 잠도 못 자면서 노력했는데 왜 월급은 파트 타임으로 과외 몇 개를 하는 것보다 적은 것일까? 물론 중소기업이라서 그럴 수도 있다. 만일 삼성이나 LG에 들어갔으면 물질적 보상은 훨씬 나았겠지만 업무 강도가 더 나아졌으리라 생각되지는 않는다. 내가 좋아하는 일이라서 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 나는 내 삶과 미래에